728x90
반응형


이쁜 것들은 마음씨도 이쁘다.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이 작품은 국가와 민족앞에 바치는 작품이다.' 라고 말이지.

녹슨 철의 느낌은 엿가락처럼 동강이가 난 철마를 상징하고
하염없이 구부러진 철심은 철책을 의미한 것이리라.
붉게 멍든 안면에 나타난 상처는 작가의 내면에 일그러진 상처의 표현이요,
불규칙하게 정신없는 머리털은 혼란스런 현재의 자신을 표현한 것이다.

현재를 살아가면서
아프지 않은 이 어디 있으랴?
그 아픈 상처를 부여잡고 한바탕 울어재낀 다음,
어떤 색깔의 카타르시스를 맛볼것인가가
인생의 참맛을 느끼는 묘미가
참 삶 아니던가!


이 작가도 이쁜 짓을 했다.
이 작품은 대한민국의 지도다.
헤어전에 맞던 아니던 간에 국가와 민족을 생각한 작품이다.
내 눈이 삐뚫어지지 않은 한
이 작품은 대한민국의 지도이다. 거울에 비춰진 그 허상.

이상도 하다.
하루에 몇번씩 들여다보는 거울이 우리를 울고 웃게 만든다.
사람의 얼굴도 그렇다.
그 안에 보이는 허상을 우리는 진실로 바라본다. 그게 아닌데.
그 인식이 인간에게 자만하고 우울하게 만든 그 거울의 원리를
이 작가는
또 다른 시각으로 대한민국을 흑과 백으로 나눠서
펼쳐놓고 이야기하고 있다.

남과 다른 시각.
좋다. 이것이야 말로 블루오션적인 표현이다.
남들이 똑바로 바라본 것을 거울이란 필터링을 통하여
인간의 찌든 때를 벗겨내고 바라본 시각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내가 작업을 하면서 바라보는 시각은 이렇다.
풍경에 사람이 들어가지 않으면 흥미를 느끼지 않거나 촬영을 하지 않는다. 물론 사물을 촬영할때는 죽은 것이 아닌 생명체를 갖은 것으로 착각하고 찍는다. 그것이 나의 매력이다.

현란한 색깔들이 샤머니즘을 말한다.  칼라젤광에 묻어나는 머리결은 무당을 연상하나 그년의 로망은 순수


 본 작품은 샤머니즘을 말하고자 한다.
만든 작가의 생각이다.
거기에 나는 더욱더 임팩있는 느낌을 만들어야 한다는 책임감보다는 어떤 흥미를 찾아낼까를 고민한다. 그리고 그녀의 내면을 바라본다. 풍만한 가슴을 가졌다. 그러나 여성성이 눈매에 녹아 있다. 작품과 합하면 무당이요, 신들린 여성이다. 그러나 그 내면은 무엇일까?
그것은 다름아닌 소녀이다. 인간이 가진 양면성이라 본다. 아니 양면성이다.

 아이디어를 창안하고 만든 작가는 무당을 만들고,
이걸보고 미소지으며 생각하는 사진가는 샤머니즘의 치유를 말하고 있다.
이 여인의 삶속에 헝클어진 내면을 무당이 만져주길 바라는 것이다.

 "여인아! 무당의 마음도 아픈 가슴이거른 의지하지 말고 그대의 사랑하는   자에게 가슴을 묻고 행운스러운 삶으로 돌아가라."



탄생은 아침이다. 그대는 새벽빛의 냄새를 맡아보았는가? 여린 가슴의  그대의 볼에는 배려의 향기가 난다



 누구에게나 꿈은 있다.
지향점을 향해서 묵묵히 걸어가다보면 목적지에 다달았음을 느낀다.
가는 길목에서 우리는 뒤를 바라보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의 초심은 항상 우리를 비호하며 삶을 함께 살아간다. 그것이 없음은 하나를 잃는 것이 아니라 전부를 잃어버리는 것이다.

 이 작품은 탄생을 말하고자 한다.
나는 여기에 이른 아침의 빛을 사용했다. 시작, 초심, 탄생, 걸음마와 같이 새로운 마음으로 시작하는 그것을 표현했다. 가녀린 그녀의 허리는 섬세한 선의 쾌락에 도취되어 타인이 만질 수 없는 순수성을 그렸다. 첼리스트의 음악은 그의 마음을 들려준다. 아마도 그녀는 첼리스트의 얇은 손가락에서 번지는 아름다운 소리를 통하여 세상에 새로이 탄생되는 인간의 시작을 알리고자 했을 것이다. 수줍은 그녀는 내색하지 않은 꼭 다문 입술에서 여성의 순결성을 바라볼 수 있었다.

 여자는 여자로서 그 향기가 아름답다. 그녀의 아름다운 선이 작품에서 보여줬 듯, 그녀의 보여지는 이미지에서 나는 그녀의 내면과 작품에 대한 끈질지고 예리한 열정을 보았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53세의 중년여성이 자기를 찾아달라고 사진작가를 찾아오다.

  중년여성은 시기적으로 사춘기 이상으로 불안정함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다.  외적 미의 상실과 여성성의 상징인 폐경기, 빈 둥우리 중후군으로 삶의 활력을 잃어가는 시기이다. 지금까지 타인을 위한 희생에서 이제는 자아를 찾아야한다. 나는 사진으로 자신의 매력적인 부분을 찾아주는 작업을 한다.  이를 통해 그들에게 활력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한다.

 

 윗 사진은 한 여성이 자신의 욕구를 분출한 사진이다. 이 여성은 스스로의 자아를 찾아가기를 원했으며 좀 더 늦지 않은 시기에 자신은 매력적인 면을 남기고자하여 촬영한 개인의 포트폴리오이다. 작품집을 만들고, 백승휴 스튜디오 갤러리 전시를 비롯하여 자서전까지 준비 중에 있는 아주 용기 있는, 실천력이 강한  여성입니다. 삶을 주도하는 우리 시대의 트렌드를 만들어 가는 여성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원래 여성은 현모양처로서 희생만을 강요당했으나 이제는 나를 찾아나가는 일이 필요하다.

  자신의 가치를 여성성으로 극대화하기를 원하고 있다. 중년의 가슴앓이를 자신안에서 찾기를 원했다. 촬영컨셉은 팜므파탈적인 여성성을 원했다. 나는 그녀에게서 순수성과 섹슈얼리티 그리고 신비주의적인 향기를 느꼈다. 밸리댄스의 흔들림 속에서 응어리가 하나 둘씩 풀려가면서 몸안의 흥이 옹아리를 시작하고 있었다. 카메라의 셔터는 그 박수소리에 두리둥실 춤을 추고 사진가의 눈동자도 순풍에 돋을 달았다. 

 심층 분석적인 개념의 촬영으로, 여성에게 맞는 이미지를 찾는 과정은 스스로 즐거워하고, 새로운 경험에 설레이고, 완성된 작품은 본인에게 만족감을 준다.  이 과정에서 자기치유적인 부분까지 덤으로 얻어진다는 것이 연구하고 있는 Photo-Therapy이다. 국내최초로 연구하고 있는 학문이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렇게 변화했고 변화해야 할 사진작가 백승휴의 얼굴들.

 얼굴은 변한다. 마음 먹기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인간의 몸에는 170여개의 근육이 있고 그 중 삼분의 일가량이 얼굴에 있다. 자주 쓰는 근육에 의하여 그 사람의 인상이 형성된다. 웃는 사람의 얼굴에는 주름조차도 보기 좋고, 과도한 성형으로인한 얼굴은 웃어도 어색한 표정이 보는 의의 마음을 불편하게 한다. 좋은 인상이란  일상에서 즐거운 생각과 바른 행동만으로도 충분히 만들 수 있다. 얼굴처럼 오묘한 것은 없다. 지구상에 수많은 사람들이 존재하나, 쌍둥이들 조차도 똑 같은 사람은 없으니 말이다.

 다양한 표정만큼이나 감정의 변화에 따라 얼굴에 나타나는 느낌이 다르다.  아마도 얼굴의 다양성이 없었더라면 나는 지금까지 20여년이 넘는 세월동안 사진작가 백승휴로서의 생활은 중도하차했을런지도 모른다. 물론 사진가의 감성과 조명의 테크닉, 그리고 얼굴의 방향에 따라서도 많은 차이가 있지만 사진가로서의 나는 의도하는 모습으로 사람들의 이미지를 만들어 낼 수 있다. 그것은 약간의 변화지만, 사진을 찍히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경험이 아닐 수 없다. 

 인간의 눈은 스스로 자기 얼굴을 바라 볼 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다. 아무리 눈동자를 이리 굴리고 저리 굴려도 불가능한 일이다. 그것은 사진만이 가능하다.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거울 조차도 진정한 나의 모습은 아니다. 좌우가 뒤바낀 상황을 바라보고 있는 것이다.  화가의 극사실주의적 기법을 동원한다고 하더라도 그 유사성은 카메라를 따라 갈 수 없다. 그리고 그 이미지를 작가의 의도에 따라서 조작가능하니 얼마나 실용적인가? 그래서 나는 사진가인 나의 직업을 사랑한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