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질문이 무엇인지 아는 것과 좋은 질문을 만드는 것은 별개이다.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다르듯이 말이다. 좋은 질문에 대해 잘 알고 있어도 실제 수업현장에서 질문을 구성하려고 하면 막연해서 쉽지 않다.
또한 사고력을 유발하려는 목적으로 교사들이 질문을 하는 경우를 보면 '왜', '어떻게'라는 범위가 넓고 추상적인 질문을 의외로 많이 하는 걸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어떤 문제에 부딪혔을 때 "왜 그럴까?", " 그 까닭은 무엇일까?'와 같이 그 원인을 묻는데 이렇게 직접적으로 묻다보면 매우 어려운 물음이 되어 생각하기 자체를 포기하게 된다.
'질문을 만드는 구체적인 방법이 어떤 것들이 있을까' 고민하다가 소장하고 있는 책 들에서 답을 찾아 보았다. 그 중에서 한형식 저자의 <수업기술의 법칙>에 '발문 기술의 법칙'이 잘 제시가 되어 있어 그 사례들을 담아본다.
1. 바꿔 표현하기
'왜'라는 질문을 받게 되면 질문자의 의도를 모르기 때문에 답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왜?'라는 질문을 좀더 구체적으로 풀면 학습자들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다.
다음은 '왜'라는 질문을 항목별로 나눠서 어떤 식으로 구성할 수 있는 지를 잘 보여주는 예다.
예시를 읽어보면 질문 방법에 대한 이해가 훨씬 잘 된다.
질문 방법 |
어려운 질문을 쉽게 만들어주는 질문의 예시 |
'어떤 조건이 갖추어져 있기에?, 갖추어지지 않았기에?' |
▶큰 강이 있는 지역이 예로부터 도읍지가 된 까닭은 무엇일까? ☞큰 강이 있는 지역이 도읍지가 된 것은 도읍지로서의 조건을 제대로 갖추어기 때문이다. 그 조건이란 무엇일까? |
'무엇이(누가)?'라고 묻고 이어 그것이 어떤 일을 했기에?' |
▶한강 유역에 산업이 크게 발달한 이유는 무엇인가? ☞한강 유역의 산업은 한강으로 인하여 저토록 크게 발달하였다고 하는데, 한강의 무엇이 그렇게 발달하도록 하였을까? ☞한강의 물이 그 유역의 산업을 발달시킨 일과 관련이 있다고 하였는데 물이 무슨 일을 하였기에 그러할 수 있었을까? |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
(네 도읍지를 산, 강, 평야, 나라의 중심부가 있는지를 보여주는 표를 보며) ▶도읍지는 왜 나라의 중심부에 있지 않을까?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 나라의 도읍지가 있었던 곳엔 공통점이 있다. 도읍지가 나라의 중심부에 있지 않았던 이 점과 관련이 있다. 어떤 점이 관련있을까? |
'무엇이 변했는가?' 또는 '변하지 않았는가?' |
(띠그림으로 분수의 크기를 보여주는 그림을 보며) ▶2/3와 8/12은 왜 같은가? ☞A와 B그림에서 변한 것은 무엇이며 변하지 앟은 것은 무엇인가? |
본질을 묻지 않고 현상을 묻는 예 |
▶교통 법규는 왜 지켜야 하는가? 또는 교통법규를 지켜야 할 까닭은 무엇인가? ☞누구도 교통법규를 지키지 않고 제멋대로 오고 가고 한다면, 거리에는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요? |
가상 상황을 설정하여 묻기 |
▶우리의 조상은 어찌하여 화폐를 만들어 썼을까? ☞오늘 갑자기 온 나라의 화폐가 없어져 버리고 앞으로 10년간 만들 수 없게 되었다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 |
2. 반복하기
위에 제시된 질문 방법들은 질문을 반복하지 않고 질문을 바꿔 표현해서 학습자들에게 그 질문의 의미를 해석하게 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수업내용에 따라서 반복하지 않으면 학습자에게 정착되기 어려운 것이 있다. 되풀이하여 가르칠 필요가 있을 때 '반복적으로 질문하기 '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인간은 똑같은 반복에 금방 싫증을 내므로 변화있는 되풀이를 해야 학습자들이 집중할 수 있다.
교사가 정답을 모르는 척 계속 오답을 활용하여 확인하는 질문도 학생들이 강한 자신감을 보이며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이 된다.
T: Is it a pencil?
A: No.
T: Is it a crayon?
A:No.
T: Is it a marker?
A:No.
T: Is it a pen?
A: Yes, it is.
3. 부정적으로 반문하기
학습자들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내용들은 이미 기존 상식으로 가지고 있던 내용들이다. 그런데 그 내용과 관련된 응답을 부정해서 질문을 던지면 학습자들의 도전의식을 불러일으키고 보다 깊이 집중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자기 보호 본능으로 인해 사람은 늘 균형을 추구하는 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적 균형을 잃게되면 잃어버린 균형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자면
"아니다, 그는 결코 정직한 사람이 아니다. 그 근거는 이러하다."이렇게 부정적으로 반문한다.
학습자들이 '있다'라고 응답하면 '없다'라고 꼬드기고 '보았다'고 응답하면 '안 보았다'고 우긴다.
그랬을 때 학습자들이 교과서를 다시 읽어보고 자료를 재검토하고 다시 사고할 수 있게 된다.
4. 선택시키는 말로 묻기
제 시된 두 가지 이상의 선택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케 하는 발문법이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OX퀴즈와 선다형 퀴즈도 선택시키는 질문의 예라 할 수 있다. (예: 댐을 건설하여야 하는가? 하지 않아야 옳은가?, 이 경우 큰 아들, 둘째 아들, 셋째 아들 중 누구에게 물려주어야 하는가?)
사람은 일반적으로 자기의 입장을 선택하고 나면 본성적으로 그것이 옳고 그름을 알고자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반응에도 관심을 갖게 된다. 선택시키는 질문의 또하나의 장점은 학습자 전원이 명확하지는 않더라도 자기 나름의 생각을 가지고 답을 하게 되므로 모두가 참여할 수 있다.
여러 질문 전략을 사용해도 의도하는 대답이 나오지 않을 때 선택시키는 질문을 활용할 수 있다.
질문의 인지적 요구수준을 낮추는 효과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그가 어디로 갔지?'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이 나오지 않을 때는 '그가 은행으로 갔는가? 또는 우체국으로 갔는가? '와 같은 질문을 함으로서 학습자들이 더 쉽게 답을 할 수 있게 된다.
5. 자료를 활용하여 질문하기
수업 속에서 학습자들로 하여금 사고케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일체의 평면적, 입체적인 자료들을 통틀어 수업자료라고 한다.
웹사이트와 영상자료가 요즘 많이 발달되어 활용되고 있지만 그래도 학교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주된 자료는 교과서라 할 수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 교과서에 삽화가 특히 많은데 삽화를 활용하여 다양한 질문을 구성할 수 있다.
삽화는 흔히 메시지에 삽입되어 있는 그림이나 사진을 말한다. 특히 다른 그림과 달리 삽화는 주의를 끌고 동기를 유발하는 주의 집중의 역할,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시지각 형태로 전달해주는 설명적 역할, 글보다 그림이 더 오랫동안 기억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도 쉽게 인출이 가능하다는 파지 역할을 가지고 있다. 삽화를 활용할 때는 오감을 활용하는 질문을 보조질문으로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즉 묻는 말의 끝이 '보았는가?', '들었는가? ,등으로 표현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지금 독수리는 어디를 보고 있는가" "주인공의 귀에는 무엇이 들렸는가?" 등과 같이 묻는 것이다.
국어교과는 삽화에 말주머니가 그려져 있어서 굳이 교사가 질문하지 않아도 학생들이 말주머니를 완성하면서 질문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삽화 자료 자체가 스스로 질문을 만들도록 유도하는 활동 매개체가 된다.
과학이나 수학교과의 경우도 가설을 세웠으나 가설대로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 경우 학생들 스스로가 독백하듯 질문을 저절로 만들게 된다. "왜 이런 결과가 나온 거지?', '무엇이 문제였던 것일까?' 라고 말이다. 이런 독백들이 교사가 질문으로 유도하는 학습효과보다 훨씬 더 큰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지금까지 좋은 질문을 만드는 방법을 한형식 저자님의 책에서 5가지 정도를 골라 정리해 보았다. 그외 기타 발문 방법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면 된다.
<한형식 선생님의 발문기술의 법칙 소개 >
가. 발문 기술의 법칙1 : 발문안에 당해 문제 해결에 필요한 단서, 곧 실마리가 들어 있어야 한다.
나. 발문 기술의 법칙 2: 직접적, 직선적으로 묻지 앟고, 간접적, 우회적으로 번안하여 묻는다.
다. 발문 기술의 법칙 3: 변화를 주며, 되풀이하여 묻는다.
라. 발문 기술의 법칙 4: 어린이의 응답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반문한다.
마. 발문 기술의 법칙 5 : 일점으로 한정하여 묻는다.
바. 발문 기술의 법칙 6 : 오감을 나타내는 말로 묻는다.
사. 발문 기술의 법칙 7: 다양한 생각이 이끌려 나와 대립되는 사고 장면이 조성되도록 묻는다.
아. 발문 기술의 법칙 8 : 선택시키는 말로 묻는다.
자. 발문 기술의 법칙 9: 자료로 하여금 묻게 한다.
한형식(2010), 수업기술의 법칙, 즐거운 학교, 174~219쪽
이런 질문 구성 방법들은 수업 현장에서는 심도있게 생각할 틈이 없다. 사전에 정한 학습목표를 중심으로 질문의 내용을 구성하되 목표에 이르게 하는 주요 질문들을 구성할 때 이런 방법들을 참고하여 만들면 좋을 것 같다.
'2013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정은] 책소개영상_ 머뭇거리는 젊음에게 -김승환 저 (0) | 2013.04.13 |
---|---|
[달선생의 티칭칼럼]발표자의 부담을 줄여주는 짝활동 방법 소개 (0) | 2013.04.12 |
[강정은] 인순이와 좋은사람들, 강원도 홍천 해밀학교 개교식에 다녀왔습니다. (0) | 2013.04.12 |
[박기완]스스로를 아는 것부터 시작하라 (0) | 2013.04.12 |
[북TV365 최은정의 뉴스레터]골프가 안되는 108가지 이유 (0) | 2013.04.12 |
[최병현] 시각장애인을 위한 영화 나눔 행사 - 장애인에 대한 편견 (2) | 2013.04.11 |
[최병현] '인터뷰의 기술' at 40라운드 조찬 2013/04/10 (0) | 2013.04.11 |
[최병현] 당신을 기록하다] 포토테라피스트 '백승휴' (0) | 2013.04.11 |
[최은정의 행복산책] 혼자만의 아지트 (0) | 2013.04.11 |
[박기완]자신의 대한 평판 따위는 신경쓰지마라 (0) | 2013.04.11 |